세이브잇 환급 종합소득세 신고에 대해 알아봅니다. 토스 앱을 사용한다면 세이브잇이 낯설지 않을 것입니다. 토스로 개인계좌의 내역 혹은 주식 내역 등을 살펴보고 있으면 환급신청, 숨은 환급금 찾기 등 세이브잇 관련해서 다양한 배너광고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세이브잇을 통해 종합소득세 신고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토스 세이브잇 서비스 개요
- 토스가 제공하는 세금 환급 서비스로, 최근 5년간의 종합소득세 환급액을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
- 국세청에 직접 신고하는 것보다 편리하지만, 10-17%의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 토스가 운영하는 서비스이므로 신뢰할 수 있습니다.
세이브잇 환급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 토스 앱에서 ‘환급’이란 키워드로 검색
- 결과중 ‘숨은 환급액 찾기’ 틀릭
- 2018년 부터 23년까지 환급액이 있다면 표시됩니다.
- 간단한 정보 입력 후 신청 완료
- 수수료(10-17%)를 제외한 환급금이 계좌로 입금
토스 세이브잇 서비스의 장단점
장점:
- 세이브잇 환급 종합소득세 신고 홈텍스를 이용하는 것보다 편리
- 최근 5년간의 환급 내역을 한눈에 확인 가능
- 토스가 운영하는 서비스로 신뢰성 있음
단점:
- 10-17%의 수수료가 부과됨
- 국세청에 직접 신고하는 것보다 비용이 발생
세이브잇을 통한 종합소득세 신고 후기
내 주민번호와 부양가족 주민번호 그리고 신원인증을 위한 지문확인을 몇 번 한것으로 간단하게 끝났습니다. 전체 걸린 시간은 채 3분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2018년 부터 2023년도까지 환급할 수 있는 금액이 표시됩니다. 2023년에 환급가능액이 보이길래 클릭. 그리고 그 환급금은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면서 나오는 것이라는 안내를 해줍니다. 그리고 세이브잇에서 하라는대로 했어요.
수수료는 환급금액의 10%정도 나갔지만 홈텍스를 통해 하는 과정도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는 종합소득세신고보다 편하고 좋았습니다. 수수료를 주고라도 다시 이용할 생각입니다.
마무리
따라서 토스 세이브잇 서비스는 편리성과 신뢰성이 높지만, 수수료 부과로 인해 비용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개인의 상황에 따라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